티스토리 뷰

반응형

HTTP(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에서 사용하는 두 가지 주요 요청 방식은 GET과 POST입니다.

이 두 방식은 웹 브라우저가 서버에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GET 방식
  • 데이터 전송 방식: 데이터를 URL에 첨부해 전송합니다.
  • 데이터 보안: URL에 데이터가 노출되므로, 보안에 취약합니다. 비밀번호와 같은 민감한 데이터 전송에는 부적합합니다.
  • 캐싱: 같은 요청이 반복되면 브라우저에서 이전에 요청한 데이터를 캐싱하여 빠른 응답이 가능합니다.
  • 데이터 길이 제한: URL의 길이 제한 때문에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의 양이 제한됩니다.
  • 사용 예시: 검색어를 서버로 보낼 때, URL에 쿼리 문자열로 데이터를 첨부해 전송합니다.
GET /search?q=query_string HTTP/1.1
Host: example.com

 

 

POST 방식
  • 데이터 전송 방식: HTTP 요청의 본문(body)에 데이터를 포함하여 전송합니다.
  • 데이터 보안: 상대적으로 안전합니다. 데이터가 URL에 노출되지 않으며, 암호화된 연결(HTTPS)을 통해 전송되면 더욱 안전합니다.
  • 캐싱: 브라우저에서는 캐싱되지 않습니다. 매번 새로운 요청이기 때문에 응답이 항상 새로운 데이터를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 데이터 길이 제한: POST는 일반적으로 GET에 비해 더 많은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습니다.
  • 사용 예시: 로그인 정보, 파일 업로드 등과 같이 보안적인 중요성이 있는 데이터를 전송할 때 주로 사용합니다.
POST /login HTTP/1.1
Host: example.com
Content-Type: application/x-www-form-urlencoded

username=user&password=pass

 

 

 

 GET은 주로 데이터를 요청하는 데 사용되며, POST는 서버로 데이터를 제출하거나 변경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선택은 요청의 목적, 보안 요구 사항, 데이터 양 등에 따라 이루어집니다.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