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신입개발자 5

[신입개발자 기술면접] MVC 패턴

MVC 패턴은 소프트웨어 디자인 패턴 중 하나로, 소프트웨어를 세 가지 주요 컴포넌트로 나누어 구조화하는 방법을 제공합니다. 이렇게 나누어진 컴포넌트는 각각 Model, View, Controller라고 불립니다. MVC 패턴은 주로 UI(User Interface)를 개발하는 데 사용되며, 각 컴포넌트가 각자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시스템을 보다 모듈화하고 확장 가능하게 만듭니다. Model (모델)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와 비즈니스 로직을 담당합니다. 데이터를 저장하고 조작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데이터의 변경을 감지하고, 변경 시 View 및 Controller에 알림을 보냅니다. View (뷰)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하고 사용자의 입력을 받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모델의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표현하거나, ..

[신입개발자 기술면접] Cookie와 Session의 공통점, 차이점

저장 위치 Cookie: 클라이언트 측에 저장되며, 브라우저가 데이터를 관리합니다. 사용자의 로컬 컴퓨터에 텍스트 파일 형태로 저장되어 있습니다. Session: 서버 측에 저장되며, 서버가 데이터를 관리합니다. 클라이언트는 세션 ID만을 가지고 있고, 이를 사용하여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에 접근합니다. 보안 Cookie: 클라이언트에 저장되기 때문에 보안에 취약할 수 있습니다. 민감한 정보를 담고 있으면 안 되며, 쿠키를 안전하게 다루기 위해 암호화 등의 추가 보안 기법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Session: 서버에 저장되기 때문에 보안상의 이점이 있습니다. 클라이언트는 세션 ID만을 알고 있고, 실제 데이터는 서버에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비교적 안전합니다. 유효 기간 Cookie: 일정 기간 동안 클라..

[신입개발자 기술면접] AJAX

AJAX는 "Asynchronous JavaScript and XML"의 약자로, 비동기적으로 웹 페이지와 서버 간에 데이터를 교환하는 기술입니다. 이 기술을 사용하면 페이지 전체를 새로고침하지 않고도 웹 페이지의 일부분을 업데이트할 수 있습니다. Asynchronous AJAX는 비동기적으로 동작합니다. 즉, 웹 페이지는 전체를 새로 고치지 않고도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받아와서 동적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습니다. JavaScript AJAX 요청과 응답을 처리하기 위해 JavaScript가 사용됩니다. 클라이언트 측에서 JavaScript를 사용하여 비동기적으로 서버와 통신하고, 동적으로 페이지를 업데이트할 수 있습니다. JSON 초기에는 XML이 주로 사용되었지만, 최근에는 JSON이 더 일반적으로 사용..

[신입개발자 기술면접] HTTP / HTTPS 설명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와 HTTPS (Hypertext Transfer Protocol Secure)는 웹에서 정보를 주고받기 위한 프로토콜로,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통신을 담당합니다. 주로 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 간의 통신에 사용되며, 웹페이지의 요청과 응답을 관리합니다. 1.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 - 특징 - 기본적인 텍스트 기반 프로토콜로, 보안 기능이 없습니다. - 데이터가 평문으로 전송되기 때문에, 도청이나 변조의 위험이 있습니다. - 사용 - 주로 정보를 안전하게 전송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 사용됩니다. - 예를 들면 뉴스 기사, 블로그 글 등의 정보를 요청하거나 전송할 때 사용될 수 있습니다. 2. HTTPS (..

[신입개발자 기술면접] Well-Known Ports

Well-Known Ports는 IANA (Internet Assigned Numbers Authority)에 의해 0부터 1023까지의 범위에 할당된 특정 포트 번호들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포트 번호들은 특정 서비스나 프로토콜에 대한 표준 포트 번호로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20, 21: FTP (File Transfer Protocol) - 데이터 전송 및 제어 22: SSH (Secure Shell) - 보안 셸 액세스 23: Telnet - 원격 로그인 서비스 25: SMTP (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 이메일 전송 53: DNS (Domain Name System) - 도메인 이름 조회 80: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 - 웹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