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oauth

OAuth 2.0과 소셜 로그인

소금집사 2025. 4. 1. 17:51
반응형

최근 많은 웹사이트와 모바일 앱에서 소셜 로그인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사용자는 구글, 페이스북, 네이버, 카카오 같은 소셜 계정을 이용해 별도의 회원가입 없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소셜 로그인은 OAuth 2.0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동작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OAuth 2.0의 개념과 소셜 로그인 구현 방식을 살펴보겠습니다.

1. OAuth 2.0이란?

OAuth 2.0(Open Authorization 2.0)은 타사 애플리케이션이 사용자 비밀번호를 직접 요구하지 않고, 인증 및 권한을 부여받을 수 있도록 하는 표준 프로토콜입니다. 이를 통해 보안성을 강화하고, 사용자 경험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1.1 OAuth 2.0의 주요 개념

  • 리소스 소유자(Resource Owner): 보호된 자원(예: 사용자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을 가진 사용자
  • 클라이언트(Client): 리소스 소유자를 대신해 보호된 자원에 접근하려는 애플리케이션 (예: 로그인하려는 웹사이트 또는 앱)
  • 인증 서버(Authorization Server):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액세스 토큰을 발급하는 서버 (예: 구글, 페이스북 등)
  • 리소스 서버(Resource Server): 보호된 사용자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

1.2 OAuth 2.0 인증 방식

OAuth 2.0에는 여러 가지 인증 방식이 있지만, 대표적인 두 가지 방식을 소개합니다.

1) 권한 코드 흐름 (Authorization Code Flow)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식으로, 보안성이 뛰어나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널리 사용됩니다.

  1. 사용자가 로그인 버튼을 클릭하면, 클라이언트는 인증 서버로 리디렉션됩니다.
  2. 사용자는 로그인 및 권한을 승인합니다.
  3. 인증 서버는 클라이언트에게 권한 코드를 반환합니다.
  4. 클라이언트는 권한 코드를 이용해 인증 서버에서 액세스 토큰을 요청합니다.
  5. 인증 서버는 액세스 토큰을 발급하며, 클라이언트는 이를 사용해 리소스 서버에서 사용자 정보를 요청합니다.

2) 암시적 흐름 (Implicit Flow)

주로 SPA(Single Page Application)에서 사용되며, 권한 코드 없이 직접 액세스 토큰을 발급받습니다. 그러나 보안 문제로 인해 최근에는 잘 사용되지 않습니다.

2. 소셜 로그인 구현 방법

OAuth 2.0을 기반으로 한 소셜 로그인을 구현하면 사용자가 기존의 소셜 계정을 이용하여 빠르게 로그인할 수 있습니다.

2.1 소셜 로그인 동작 과정

  1. 사용자가 "구글 로그인" 버튼을 클릭
  2. 클라이언트가 구글 OAuth 2.0 인증 서버로 리디렉션
  3. 사용자가 구글 계정으로 로그인 후 권한을 승인
  4. 인증 서버가 클라이언트에게 권한 코드 또는 액세스 토큰 반환
  5. 클라이언트가 인증 서버에 액세스 토큰을 이용하여 사용자 정보 요청
  6. 사용자 정보 확인 후 애플리케이션 내 계정과 연결

2.2 주요 소셜 로그인 제공자

  • 구글 OAuth: Google Identity Platform 이용
  • 페이스북 로그인: Facebook Developer Console 이용
  • 네이버 로그인: 네이버 개발자 센터에서 애플리케이션 등록 후 사용 가능
  • 카카오 로그인: Kakao Developers에서 앱 등록 후 사용 가능

3. 소셜 로그인 구현 시 고려해야 할 점

  1. 보안 강화
    • 액세스 토큰 노출 방지 (HTTPS 사용 필수)
    • OAuth 2.0 PKCE(Proof Key for Code Exchange) 적용
    • CSRF(교차 사이트 요청 위조) 방어
  2. 유지보수 및 확장성
    • 여러 소셜 로그인 제공자 지원 시 코드 구조 정리 필요
    • Access Token 만료 및 갱신 처리 고려
  3. 사용자 경험 개선
    • 기존 사용자 계정과 소셜 로그인 계정 연결 지원
    • 로그인 실패 시 친절한 오류 메시지 제공

4. 결론

OAuth 2.0은 안전한 인증 및 권한 부여를 위한 강력한 표준이며, 소셜 로그인의 핵심 기술로 사용됩니다. 이를 활용하면 보안성을 유지하면서도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적절한 보안 조치와 유지보수 전략을 적용하면 안전하고 효율적인 인증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개발 > oauth' 카테고리의 다른 글

JWT(JSON Web Token)란?  (0) 2025.04.01